'정력에 좋은음식' 진실과 오해
개고기·장어는 '조선시대 정력 식품'
'스태미나 식품' 과잉섭취는 역효과, 복분자는 정력보다 혈관에 더 좋아
'섹스 미네랄' 굴도 많이 먹으면 독
▲ 굴에 풍부하게 함유된 아연이 정자의 활동을 활발하게해 '섹스 미네랄'이라
불린다.
개고기나 장어 등 정력에 좋다고 알려진 식품에는
정작 정력에 좋은 성분이 ‘없다’.
최고의 정력제라고 알려진,
값비싼 물개 해구신(海狗腎)에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미미한 정도의 남성호르몬이 함유돼있을 뿐이다.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정력제의 실체는 도대체 무엇일까?
개고기, 장어, 뱀, 사슴 등 이른바 ‘스태미나 식품’은 대부분 고열량,
고단백, 고지방이기 때문에 체력을 보강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이 식품 속 지방은 남성호르몬과 DHEA와 같은 스테로이드 계열의
생식 호르몬 생성에 도움을 주므로 적당한 섭취는 도움이 된다.
AG 클리닉 권용욱 원장은 “영양섭취가 충분하지 못했던 과거에는
스태미나 식품을 섭취하면서 체력을 보충했고,
체력은 정력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므로 예전부터 정력제로 간주돼 왔다”며 “
특히 소나 돼지고기가 귀했던 시절엔 생활 속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뱀이나
개고기가 체력과 정력을 증진시켰을지 모르지만 현재는 아니다”고 말했다.
▲ 복분자는 폴리페놀이 함유돼있어
동맥경화의 주범인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오히려 스태미나 식품의 과잉 섭취는 정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남성 발기의 핵심은 혈관인데 육류에 함유된 콜레스테롤 등이
혈관에 손상을 입히기 때문이다.
권 원장은 “따라서 스태미나 식품의 지나친 섭취는 자제하고,
먹더라도 지방은 빼고 단백질만 먹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정력에 좋은 채소로 알려진 부추, 마늘, 복분자 등도
정력보다는 혈관에 좋은 식품이다.
부추에 매운 맛을 내는 ‘황화알릴’ 성분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결과적으로 발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황화알릴은 또한 비타민B1과 결합하여 ‘알리티아민’을 만드는데,
이것은 피로를 회복하고 활력을 북돋게 하므로 간접적으로 성욕과 정력을
증진시킨다.
▲ 마늘의 알리신 성분이 호르몬 분비를 자극해 정자 수를 증가시킨다.
마늘의 ‘알리신’ 성분도 혈관을 확장시켜 혈전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고,
남성호르몬과 다른 호르몬 등 호르몬 분비를 자극해 정자 수를 증가시킨다.
먹고 나면 요강이 뒤집어질 정도로 소변 줄기가 세진다는 ‘복분자’는
옛날부터 한방에서 정액과 소변 양이 많아진다고해서 정력제로 사용돼 왔다.
물론 복분자 속 강력한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비타민C 등이 혈관내벽을 손상시키고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주범인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발기 능력을 증진시키지만
먹고 나면 즉각 정력이 세진다는 얘기는 아직 과학적 근거가 미미하다.
굴에 풍부하게 함유된 아연은 전립선에 많이 있으며,
정액의 일부를 구성하고 정자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 ‘섹스 미네랄’이라고
불린다.
아연은 또한 남성호르몬을 여성호르몬으로 바꾸는 ‘아로마테이즈’라는
효소를 억제하여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원활하게 기능하도록 돕는다.
굴 2~3개를 섭취하면 정자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아연의 하루 권장 섭취량(10㎎)이 충족된다.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영양관리센터 이금주 팀장은
“그러나 미량 영양소 아연을 지속적으로 많이 섭취했을 때는
몸에 축적돼 오히려 독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 부추에 매운 맛을 내는 황화알릴 성분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발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삼의 사포닌 성분은 우리 몸에서 과산화지질을 형성을 막아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를 예방하는데, 일본과 한국에서는
정자의 운동성이나 정자 수를 증가시켜주고, 심인성(心因性) 및 혈관성 발기부전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들이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처럼 효과가 입증된 인삼이나 굴도 먹은
즉시 효과가 나타나는 ‘즉효약’ 은 아니다.
이미 발기부전 등 성기능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으며,
체질에 맞지 않거나 과하게 먹었을 때는 오히려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고려대 비뇨기과 문두건 교수는 “정력식품으로 알려진 것들을 꾸준히
섭취하면 어느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단기간에 너무 많은 섭취를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시대 왕의 정력 음식 일곱가지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정력 식품 6가지를 소개했다.
오늘은 조선시대의 왕들이 즐겨 먹었던 정력 음식을 알아본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좋은 후세를 낳기 위해 현대인들보다
더욱 엄격한 ‘밤 생활의 법도’가 있었다.
고대 신선술과 기를 숭상했다는 점에서 타오러브 방중술의 이치와 부합했다.
일식∙월식 등을 피해야 하는 타오러브 방중술의 엄격한 규칙은
조선의 왕에도 그대로 적용됐다.
하지만 왕의 정력을 위해 중요시 했던 것은 역시 여러 금기 사항보다는
자양강정식, 일종의 정력 강화 음식이었다.
이원섭 선생이 쓴 왕실비방에 소개된 대표적 강정식 일곱 가지를 소개한다.
첫째, 민물 뱀장어에 마늘을 넣고 고아서 베에 짠 즙.
주로 여름철에 복용하는데 이 즙을 마시면 잠자리에서도
전혀 피로를 못 느낄만큼 굉장한 힘을 발휘한다.
둘째, 뼈를 발라낸 참새로 쑨 찹쌀 죽.
참새 3마리의 뼈를 발라낸 뒤 생강을 조금 넣고 찹쌀 반 종발을
끓인 다음 참새를 넣어 마무리한 죽이다. 주로 가을에 복용한다.
참새 죽을 먹은 왕을 모시던 궁녀는 혼절하거나 복상사하였다고 한다.
셋째, 돼지 코 수프. 돼지 귀 수프로 와전되기도 하는데,
명나라 신종이 이 음식을 방중술에 활용했다고 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정확한 양념은 전해지지 않으나
새우젓이 양념으로 제격일 것이다.
넷째, 메밀국수. 강화도령 철종이 메밀칼국수와 순무김치를 즐겼다.
철종 바로 전대인 현종도 주색에 빠져 스태미나 식품으로
이 메밀을 가장 중하게 여겼다고 한다.
메밀 50% 이상인 전분국수와 조갯살을 넣고 끓여
무김치와 먹으면 기운이 펄펄 솟는다.
다섯째, 무 생강나물. 가을 무를 채 썰어 생강을 조금 넣고 기름에 볶아냈다.
이런 무 생강나물을 장복한 왕은 정력이 강하여 왕자와 왕녀를
15명 이상 생산하였으며 또한 70세 이상 장수했다고 한다.
여섯째, 수수떡. 수수팥떡과 수수엿, 찰수수부꾸미는 중년을 넘긴
제왕들의 방중술에서 애용되는 식품이었다.
찰수수부꾸미는 찰수수를 물에 담가 놓았다가 가루를 내어
반죽한 다음 팥 앙금을 싸서 콩기름 또는
낙화생 기름(땅콩기름)에 지지면 그만이다.
일곱째, 볶은 개미. 개미를 볶아 먹는다.
자기 몸무게보다 400배나 무거운 물체를 끌고 다니는
개미는 풍부한 단백질과 18종의 아미노산 외에도
아연∙구리∙망간 등 여러 종류의 미량원소가 있으며, 특히 아연성분이 많다.
아연은 생명의 불꽃이라 하여 인체 내의 효소를
합성하는 데 불가결한 물질이다.
양파속 `폴리페놀` 암 예방 효과 뛰어나다.
국내 연구진에 의해 양파와 같은 식품에 다량 존재하는
폴리페놀 성분인 쿼시틴(Quercetin)과 미리시틴(Myricetin)의
암 예방 효능 및 작용 메카니즘이 규명됐다.
건국대 특성화학부 이기원(생명공학과)ㆍ허용석 교수팀(화학과)은
서울대 이형주 교수, 미국 미네소타대학 지강동 교수와 그동안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Polyphenol)의 암 예방 효능에 관한
국제 공동 연구를 진행해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쿼시틴과 미리시틴이 암화 과정에 관련된 특정
신호전달 단백질과 직접 결합해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 교수팀은 "쿼시틴은 암화과정에 중요한 발암 관련 단백질로
알려진 Raf, MEK과 직접 결합해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암 예방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 효능은 포도의 암 예방 성분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또 미리시틴은 발암 관련 주요 단백질인 Fyn과의 직접 결합에 의한 활성
억제를 통해 암 발생을 현저히 억제함을 동물 실험에서 입증했다고 한다.
이들 쿼시틴과 미리시틴의 세포내 표적 단백질과의 결합을 통한 암 예방
기작 규명은 분자생물학, 화학유전체학,
컴퓨터 생물학 등의 기술이 융합돼 이뤄낸 연구 성과로,
미국 암학회(AACR)가 발행하는 암 연구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암 연구 (Cancer Research)’ 2월호와 7월호에 잇따라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농림수산식품부 바이오그린 21 기능성소재 사업단의
국제 공동연구 지원 사업을 통해 진행된 것이다.
'生活 & 飮食'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좋은 생선, 수은 걱정 필요 없어 (0) | 2011.04.08 |
---|---|
천진(天津)의 대표 음식 (0) | 2011.02.21 |
♣ 먹거리 種類別 效果 ♣ (0) | 2011.02.03 |
빵의 역사 (0) | 2011.01.14 |
교통사고 응급 조치<처리> 요령 10가지<가해자 측면에서 유리> (0)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