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응급 조치<처리> 요령 10가지<가해자 측면에서 유리> 피해가 크건 작건 피해정도를 꼼꼼히 확인해봐야 합니다. 상대편과 현장에서 굳아 다투는 것은 피하는 것이 낫습니다. 당당하게 대처할 수 있는 10가지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1. 피해물을 확인합니다.<가능한 보험사에 현장출동직원을 요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피해자에게 사과합니다. .피해가 어느 정도인 지 꼼꼼히 살펴봅니다. 2. 인적사항과 연락처를 교환합니다.<유능한 사람은 대리점 담당자의 전화번호를 알려 준다> .운전면허증을 주면 안됩니다. .각서는 절대 쓰지 말아야 합니다.<꼭 필요시 사고사실확인서를 써준다> .피해자가 차를 수리할 때 연락 달라고 말합니다. 3. 사고현장을 보존합니다.<사진촬영.라카칠 표시등> .사고 흔적을 표시하거나 사진을 찍어 둡니다. .목격자가 있다면 확인서, 연락처를 받아 둡니다. .차를 안전지대로 옮깁니다. 4. 피해자를 병원에 데려갑니다. 1) 가벼운 부상 <최선은 현장에서 소액주고 조속한 합의가 유리합니다> .피해자가 아주 가벼운 부상을 입었더라도 병원치료를 받게 합니다.<아프면 연락 달라가 더 유리함> .피해자가 괜찮다고 해도 연락처는 알아둬야 뺑소니로 몰리지 않습니다. .병원 직원에게 차량번호와 가입 보험사를 알려 줍니다. 2) 중상 <보험사에 일단은 현장출동직원을 요청하는 것이 유리함> .119구조대나 병원 구급차를 부릅니다. .시간이 있다면 사고 증거물을 모읍니다. .차가 크게 부셔졌다면 보험사 긴급출동서비스를 이용합니다. 5. 사고가 클 때만 경찰에 신고합니다. .경찰 신고는 가해 운전자에게 불리합니다. .최소한 벌금을 내거나 벌점을 받게 됩니다. .벌금은 보통 100만원 이상입니다. 6. 보험사는 개인비서로 활용합니다. .사고가 나면 보험사에 연락해 해결방법을 물어 봅니다. .보험사가 사고처리 해줬다고 무조건 보험료가 올라가지는 않습니다. .보험사는 피해자의 무리한 요구를 막아 줍니다. 7. 경찰에게 자신의 주장을 당당히 밝힙니다. .진술내용과 조서내용이 다르면 꼭 지적합니다. .조사결과가 잘못됐다면 민원을 냅니다. .민원접수처:해당 경찰서 상급기관 (지방경찰청, 경찰청, 검찰청) 8. 형사 합의해야 할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습니다. .형사합의는 피해자에게 돈을 줘 형사처벌을 가볍게 하는 것입니다. .사망, 뺑소니 등 처벌이 무거운 사고를 냈을 때 해야 합니다. .손해사정인, 변호사 등 전문가에게 맡깁니다. 9. 민사책임은 보험금만으로 충분합니다. .보험사에 사고처리를 맡겼다면 보험사가 모두 책임집니다. .보험사가 보상 않는 손해는 가해자에게도 책임없습니다. .피해자가 귀찮게 하더라도 보험사와 해결하라고 밝힙니다. 10. 사고처리 결과를 확인합니다. .보험 처리로 보험료가 얼마나 늘어나는 지 알아봅니다. .자비 처리보다 불리하다면 지급된 보험금을 보험사에 환입 합니다. .자기 과실여부를 따져 할인할증 여부를 따져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