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광복을 맞이한 부산은 여러 가지 산적한 현안을 안고 있었다. 부산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철수, 해외동포의 귀국, 일제잔재의 청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도 전에 남과 북을 미소가 분할 점령하여 남한은 미군정의 실시로 부산에 미군이 주둔하여 군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미군정 당국의 행정체계는 일제강점기 행정체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자 미군정도 종식되고, 부산은 새로운 행정체제 속에서 민주적 법치행정의 실시를 추진하였다.
즉, 1947년 7월에는 일본식 동명을 우리말로 바꾸었으며, 1949년 8월 15일 부제(府制)가 시제(市制)로 개칭되어 비로소 부산시가 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로 부산이 임시수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또 다른 시련을 겪었으나 그 와중에서도 1951년에는 영도, 초량, 서부출장소가 설치되고, 1953년에는 대연출장소가 부산진출장소(1936년 설치)에서 분리 설치되었고, 해운대출장소도 수영출장소에서 분리되어 출장소는 8개로 늘어났다. 1957년 1월 1일 구제가 실시되어 6개구(중구·동구·서구·영도구·부산진구·동래구)가 설치되었다.
1963년 1월 1일을 기하여 정부 직할시 승격으로, 제3차 행정구역이 확장되어 동래군의 구포읍과 사상, 북면, 기장읍 송정리를 편입하여, 6구(중구·서구·동구·영도구·부산진구·동래구), 7출장소(대연·사상·사하·북면·수영·구포·해운대), 136동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부산은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1960년 중반 부산의 인구는 광복 당시보다 무려 5배 증가한 150만명에 시역이 373.23㎢로 확장됨으로써 대도시 특유의 기능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1978년에는 제4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낙동강 삼각주의 대부분 지역인 김해군 대저읍, 가락면, 명지면 등이 시역으로 편입되면서 면적은 432.32㎢ 로 늘어났고, 1989년에는 제5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인구 400만을 수용하는 세계적 도시로 발전하여 국제 도시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그 시역은 경남 김해군 가락면과 녹산면 그리고 창원군 천가면 등으로 확대되어 면적 525.95㎢로 거대도시의 면모를 보여주게 되었다.
아울러 행정구역도 1975년에는 남구, 1978년에는 북구, 1980년에는 해운대구, 1983년에는 사하구, 1988년에는 금정구, 1989년에는 강서구가 설치되어 12구로 늘어났다. 한편,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법개정으로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3월 제6차 행정구역 확장으로 기존의 동래구를 분구하여 연제구를, 남구를 분구하여 수영구를, 북구를 분구하여 사상구를 신설하였다. 또한 양산 동부 5개 읍면(기장읍·장안읍·일광면·정관면·철마면)을 편입시켜 기장군에 편제하였고, 진해시 웅동2동 일부가 강서구 녹산동에 편입되면서 면적은 749.17㎢으로 확장되었다. 2003년 1월 현재 면적은 762.92㎢로서 전국의 0.75%를 차지하고 있다.
'역사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 박정희대통령의 사랑편지 (0) | 2011.02.18 |
---|---|
24節氣 (0) | 2011.02.17 |
모안영/그리고 한국전쟁 (0) | 2011.01.31 |
故 서영춘씨의 데뷰시절 (0) | 2011.01.21 |
TBC(동양방송)의 고별방송 일부... (0) | 201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