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0년대의 관덕로.. |
관덕로 거리를 다리 걷어붙인 한 사나이가 걸어오고 있다. 세워져 있는 지프 한 대, 우생당책방과 남도치과, 국제미싱사와 나포
리미싱사, 이런 간판들이 보이고 제주여행사의 간판도 눈에 뛴다. 길은 아직 2차선이다. |
 |
1970년대의 제주시가 전경.. |
지금 KAL호텔이 있는 쪽에서 내려다본 1970년대의 제주 시가지 모습이다. 왼쪽에 규모가 비슷한 주택단지가 들어서 있고 시내
요소요소에 개발의 기운이 들어차있다. 길도 과거에 비해서는 훨씬 넓게 빼어져 있다. |
 |
병문천 하류에서의 멸치잡이.. |
여름날 병문천 하류에서 젊은이들이 그물로 밀려온 멸치떼를 잡고 있다. 재 깊숙이 까지 멸치떼가 밀려 오는 일은 과거에는 흔
했었다. 그 하류에는 멱감는 아이들이 떼지어 있다. |
 |
탐라의 미인들.. |
제1회 탐라미인 선발대회에서 영예롭게 선발된 탐라미인과 준탐라미인이다. 이 때 탐라미인으로 선발된 사람은 高麗珍씨인데
그녀는 나중 아나운서로 중앙에서 활약한다. |
 |
철쭉제 날의 백록담.. |
화창한 철쭉제 날 백록담에 운집한 인파이다. 이 많은 사람들이 백록담을 훼손시켰으니 오늘날 입산통제를 해야 할 정도로 황폐
해진 것은 누구를 탓할 것도 없다. 철쭉보다는 사람꽃이 피어 있는 것 같다. |
 |
전국 대학생 적설기 등반.. |
제주대학이 주최가 되어 제1회 전국 남녀대학생 적설기 한라산 등반대회가 열리고 있다. 출발에 앞서 관덕정 앞에서 식이 거행
되고 있는 장면이다. |
 |
산지천의 복개.. |
냇가에 모여 살던 무허가 주택들이 철거되고 산지천이 복개되기 시작할 무렵이다. 시멘트 기둥들이 막 세워지고 있는데, 이제
이걸 헐어내고 재개발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니 세월이 여류한다는 말은 실감이 있다. |
 |
1960년대의 서문로.. |
상가가 줄지어 서있는 서문로에 차와 사람들이 엉키어 있다. 이 때 이미 도로 사정은 엉망이었던 모양이다. 약방과 건재사, 당구
장들도 들어서 있다. |
 |
애월읍 중심지의 전기 점화식.. |
애월리 중심가에서의 전기 점화가 되던 날이다. 오색 깃발이 날리고 아치에 전구도 매달려 있다. "하나 둘 셋 하면 스위치를 누
르십시오" , 신호를 기다리는 표정이 진지하다. |
 |
동문로의 포장 준공.. |
동문로에 경사가 겹쳤다. 가고가 확장 포장되고 하수도시설도 이루어졌다. 이걸 축하하는 식이 열리는 모양이다. 오가는 자전
거, 이 무렵의 주 서민 교통수단인 것 같다.<白鷺會>의 천막이 한결 시원스럽다. |
 |
고구마 썰어 말리기.. |
산방산 부근의 밭에서 고구마를 기계로 썰어 말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하얗게 마르는 고구마, 이것들은 주로 주정의 원료로 쓰
여졌다. |
 |
비양도에 해저수도.. |
비양도에 수도 가설을 위한 해저수도를 매설하고 있다. 섬주민들의 작은 배들이 공사에 동원되었다. 비양도 기슭의 납작한 지붕
틀, 미양도는 마치 기계충 오른 아이 머리 모습이다. |
 |
수도 통수식.. |
쇠파이프를 통하여 수돗물이 나온다. 한 평생 물허벅을 지노라 등이 굽은 할머니가 컵에 물을 받아 마신다. 물맛과 감회가 어떨
까. 좋은 세상 왔다고, 둘러서 있는 사람들의 표정이 너나 없이 밝다. |
 |
제주에서 서귀간 횡단도로 개통.. |
5·16쿠데타 이후에 제주의 가장 큰 변화를 불러온 것은 한라산 동녘 기슭을 관통하여 첫 번째 횡단도로가 빼어진 것이라 할 것
이다. 이로써 제주가 명실공히 1일생활권이 되었다. |
 |
바다를 배경으로 한 제주시가지 전경.. |
三姓穴 서쪽편 언덕에서 내려다본 제주 시가지의 전경이다. 바다가 병풍처럼 둘려 있고 그 안에 제주시가지가 담겨 있다. 오른
손편 지금의 KAL호텔 자리에 있는 건물은 제주여고 교사이다. 이 부근에 아직 시가지 조성이 안돼 있던 때이다. |
 |
도두동 포구의 물맞이.. |
과거 제주시 도두동 포구가의 물맞이터이다. 그 당시에도 1등의 수질. 시멘트로 물줄기가 세게하고 본격적으로 물맞는 터를 만
들어 놓았다. 이제 제주에서도 이런 장소를 찾기란 쉽지 않은 일이 되어 버렸다. |
 |
조천포구와 연북정.. |
돛을 내리고 포구에 정박한 배가 마냥 한가롭다. 그너머로 멀리 연북정의 기와지붕이 보인다. 초가에 섞인 함석지붕, 동네 사람
몇이 둘러서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
일출봉과 성산포.. |
일출봉의서녘 기슭에 성산포 마을이 조성되기 시작 할 무렵이다. 공장으로 보이는 집 몇 채, 거기 굴뚝에서 솟아오르는 연기로
보아 탁주공장이나 패류가공공장이 아니었을까. 수매밑 포구에 떠 있는 배 두어 척, 이때 만해도 성산포는 매우 한적한 어촌이
었다. |
 |
병문내 하류의 빨래터.. |
병문내 하류의 빨래터에서 아낙네들이 세답이 한창이다. 하얀 옷이 아낙네들이 바닥의 검은 바위들로 하여 더욱 도드라져 보인
다. 빨래감은 구덕에 담아 내왔다. |
 |
상여 행렬.. |
만장과 명정을 앞세우고 상여가 지나갈 참이다. 남녀 조문객들, 이웃 사람들이 구름같이 몰려 서서 나가는 상여를 지켜보고 있
다. 전봇대와 초가 등으로 미뤄 일제시대쯤으로 보인다. |
 |
제주측우소와 산지물.. |
비탈 꼭대기에 측후소의 첨탑, 맞은편에 소나무 한 그루가 대조적이다. 비탈 중간쯤에 빨래를 넌 초가와 인입전주가 보이고 아
래쪽에 산지냇가의 샘터가 보인다. 양손에 물통을 든 바지게꾼과 물 긷는 여인의 뒷모습, 그리고 앉아있는 댕기머리 처녀, 당시
의 한 풍속도이다. |
 |
서당 훈장과 학동들.. |
일제시대가 되면서 그들은 한때 개량서당을 운영한적이 있었다. 갓 쓰고 두루마기 입은 훈장에 학동들은 이미 거의가 단발을 했
으며 입성도 양복을 입은 아이가 있다. 신발은 짚신과 고무신, 나막신까지 한데 섞여 있다. |
 |
물 위에 떠있는 해녀들.. |
등대기를 드러낸 채 머리에 수건을 동이고 족새눈을 쓴 해녀들이 바다로 나가고 있다. 빗창을 든 해녀도 있어 다소 조작된 사진
임을 알 수 있다. 넘실거리는 물이랑이 효과적이다. |
 |
결혼 행차.. |
예복을 갖추어 입고 백마를 탄 신랑이 앞장서고 새각시의 가마가 뒤따랐다. 그 뒤로 말 탄 상객들이 뒤따르는 이 결혼 행차는 막
동네로 들어서고 있는데 정황을 미뤄 보아 신랑이 색시 집에 가서 색시를 데리고 신랑 집으로 돌아오는 참인 것 같다. 이런 결혼
풍습은 제주만의 독특한 것이었다. |
 |
관덕로의 변해가는 모습.. |
일제식민지 당시 변해가는 관덕로 부근의 모습이다. 고층집이 생기고, 간판과 전봇대들이 늘고, 함석으로 된 연통들도 보이기
시작했다. 행인들은 남자와 어린이들로부터 검은색 옷을 입기 시작하는 것을 엿볼 수 있다. |
 |
제주도 영림서겸 제주 산림보호구.. |
일제식민지시대가 되면서 그들은 한라산의 서나무를 베어내어 표고 재배를 시작했다. 영림서에서 키워낸 삼나무와 소나무의 묘
목으로 식목도 했다. 그들은 한라산의 나무들을 자원으로 보았기에 퍽 중요시했는데 이 건물은 그 관리와 행정을 담당했던 곳이
다. |
 |
관음사.. |
마치 잘 사는 부자의 살림집같은 이 집은 그러나<관음사>란 제목이 붙어 있다. 낮은 지붕, 바깥의 유리문, 벽은 백회로 단장을
하였다. 뒷뜰의 나무들이 아직 애나무들인 점을 보아 당시 이 부근의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
 |
서귀포 시가지와 문섬.. |
일제 식민지시대인 1928년 당시의 서귀포 시가지 전경이다. 집들이 건성드믓 있고 새섬 너머에 문섬이 스름하게 누워 있다. 집
들은 크고 함석지붕들이어서 신흥 시가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른손 편에 그 유명했던<벼락맞은 소낭>이 보인다. |
 |
제주측우소 언덕에서 조감한 제주읍 전경.. |
지금의 제주측후소 쪽 언덕에서 내려다 본 일제시 제주읍의 전경이다. 자세히 보면 큰길 가의 집들부터 기와나 함석으로 지붕이
바뀌고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길가에 드문드문 전봇대, 멀리 끝부분에 해안과 수평선이 보인다. |
 |
사라봉 쪽에서 찍은 제주읍의 전경.. |
정리되지 않은 산지내 건너 제주읍의 시가지가 납작하게 엎드려 있다. 그 때는 관덕정이 단연 두드러졌던 건물로 뚜렷한 지붕이
중심부에 보인다. 안온한 해촌의 정경인데 관덕정에서 동회하던 신작로가 그래도 뚜렷하게 뻗어 있다. |
 |
제주항 건설 이전의 산지포 주변.. |
제주항 건설 이저의 산지포구 주변의 모습이다. 돌로 축장을 한 포구 안에 작은 배가 들어와 있고, 사람들이 작업을 한다. 멀리
탑동의 해안이 뻗어 있고 주변은 정리가 안되어 산만하다. 아득히 제주읍내의 모습도 보인다. |
 |
제주읍 오일장의 그릇시장.. |
시장에도 개화의 물결이 많이 들어와 있는 때임을 알 수 있다. 두루마기나 오바 위에 도리우찌 모자가 갓 쓴 사람들과 어울려 있
다. 그릇시장에 나온 물건도 사기그릇들에 구리주전자들도 보인다. 칠성로 입구쪽에서 서쪽을 향해 찍은 사진이다. |
 |
관덕정 마당의 제주읍 오일장.. |
관덕정 쪽에서 동쪽을 향하여 찍은 것이다. 정면에 잠방이 위에 도리우찌를 쓴 사내가 사진 찍는 것을 의식한 듯 웃고 있다. 모
인 사람들의 숫자로 보아 장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광장의 양쪽에 전봇대가 서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전기 가설이 된 후임
을 알 수 있다. |
 |
1929년의 제주도청.. |
이제부터 사진의 일부는 1929년 조선총독부 발행의<생활상태조사>보고서에 실린 것들이다. 이 무렵에 찍은<제주도청>. 정문
입구 정면과 청사 모습이 보인다. 정문과 벽에, 그리고 인도의 양쪽에 백회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양쪽에 거창하게 광고
판이 서 있다. |
 |
금령리 해안의 어구 보관.. |
바닷가에 나무로 사귀에 기둥을 세워 소위 상자리를 만들어 놓고 그 위에 그물 등 어구의 가리를 쌓아 놓았다. 상자리 위에 어구
를 쌓은 것은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
 |
초가마당에서의 세콜방애.. |
세콜방애 고들베 지엉 저녁이나 밝은 때 허라"는 구절의 민요가락이 있는데 이여인들이 지금 세콜방애를 찧고 있다. 민요에 맞
춰 세 사람이 번갈아 방아를 찧어 나가는 것이다. 손발이 잘 맞아야 잘 찧게 된 방아이다. |
 |
애기구덕.. |
지금 40∼50대 이상의 사람들은 누구나 어려서 이런<애기구덕>이라는 이 고장 특유의 요람에 누워자랐던 추억이 있다. 대로 짠
이 구덕은 통의 중심쯤에 그물을 엮고 그 위에 짚을 깐 다음 기저귀를 깔고 아기를 눕혔다. 그리고 이 요람을 흔들며 자장가를
불렀다. 이요람은 심지어 밭이나 어디나 지고 다니기도 했다. |
 |
제주 농가의 부녀자들.. |
당초 붙어 있던 제목은<가래리 농가의 부인>이다. 가래리는 과거 서귀포시 江汀洞의 이름이다. 그러나 이 모습 역시 제주도 전
역에서 과거 흔히 볼 수 있었던 모습이다. 뒷모습을 보이고 있는 여인이 아랫도리를 벗은 두아이를 함께 업은 모습이 이채롭다.
또 아기 업은 소녀는 맨발이다 |
 |
바다 절벽에서 떨어지는 정방폭포.. |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것으로 유명한 정방폭포, 그하얀 물줄기가 외롭게 보인다. 절벽 위의 나무들이 아직 그리 크지 않았던 때
이다 |
 |
대정고을 농부의 풍속.. |
단산으로 보이는 산 기슭밭 가운데를 중년의 두 농부가 짐을 지고 지나가고 있다. 흰 바지 저고리에 털벙거지를 쓴 앞장선 사람
은 지게 위에 멱서리, 그 위에 쇠스랑을 얹고 있고 갈잠방이 적삼에 대패랭이 차림의 뒤엣 사람 역시 지게 위에 돗거름으로 보이
는 짐을 지고 있다. 보리라도 갈러 가는 것일까. |
 |
제주 해녀 10명.. |
오조리 여인 10명을 표본추출하여 사진을 찍은 일제는 다시 제주 해녀 10인을 추출하여 이렇게 사진을 찍었다. 앞으로 손을 모
아 쥐거나 엉거주춤한 자세, 이 여자들에게는 일률적으로 수건을 씌워 놓았다. |
 |
추자도의 테우와 배들.. |
추자도의 해안 바닥에 테우와 어선들이 세워져 있다. 일제의 관헌들로 보이는 제복의 사내들이 서 있는 모습들로 보아 이 사진
역시 조사 과정에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아직 포구는 인공이 가해지지 않은 천연조건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
 |
테우와 돛배.. |
어로수단인 테우와 돛배가 만조의 연안에 한가로이 떠 쉬고 있다. 연안 자갈돌들로 보아 추자의 신양리쯤으로 추정된다. 식민지
시대가 되면서 일본의 잠수기선들이 우리연안에 자주 출몰했던 것으로 미뤄 이런 열악한 수단을 역이용했을 수도 있다. |
 |
추자도 기슭의 동네.. |
추자섬 기슭의 동네 납작납작 엎드린 초가들이 이야기라도 나눌 듯이 정답다. 갯바닥에 작은 배 몇 척이 보이고 아직 포구는 정
지되지 못했던 것 같다. 전형적 옛날 어촌 모습이다. |
 |
화북동의 삼사석비.. |
역시 삼성신화와 연관되어 세 신인이 활을 쏘을때 과녘이 되었다는 돌이 비각 안에 모셔져 있다. 상투를 틀고 이마를 질끈 동인
원주민 사내가 가슴을 풀어 헤치고 의연히 서있는 모습이 신화를 떠올리게 한다. |
 |
온평리의 혼인지.. |
삼성혈과 연관되어 세 신인이 벽랑국에서 떠온 공주들을 맞아 혼인을 치루었다는 성산읍 온평리의 혼인지이다. 아득히 뒤로<大
水山峰>이 보이고 바위너설 위의 바닥에 물이 고여 혼인지를 이루었다. |
 |
형제섬과 용머리의 연대.. |
산방산 기슭에서 내려다보이는 아득히 바다 위에 형제섬이 떠 있고 용머리코지(곶)가 섬 쪽을 향해 미련한 짐승의 머리처럼 내
밀어져 있다. 지금의 하멜표류기념비가 있는 위치에는 연대의 모습이 거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
 |
제주성과 성문 어귀의 석무인.. |
지금 우리가 돌하르방이라고 부르는 성문 어귀의이 석상들을 일본인들은<石武人>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이표기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양쪽 두 기씩 네 기의 돌하르방이 부릅뜬 눈으로 지켜보고 있는 것이 두려움이 대상이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
 |
삼성혈을 밟고 선 순사들.. |
1910년 한일합방이 되고 그해 10월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이래 1914년 일본은 조선의 토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부측량을
실시하였는데 제주는 그 처음 표본지역이 되었다. 이 사진은 그러니까 당시 일제의 관헌들에 의해 찍어진 것인 듯하다. 1915년
말 우도, 가파도를 제외한 제주 전지역이 측량 완료되고 1916년 1월 4일에는 토지 소유자와 지적도가 고시된다. |
 |
삼성혈의 조사.. |
일제 제복의 사내들이 당시로서는 시내 외곽에 위치한 삼성혈을 조사하고 있다. 제복을 입고 칼을 찬세 순사가 각기 세 혈의 입
구를 밟고 서 있다. 구멍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함으로도 보이지만 그 보다 이렇듯 숨구멍을 틀어막겠다는 상징적 의미도 내포하
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
 |
북제주군 애월성지.. |
지금 애월리 바닷가, 애월초등학교 자리의 애월성지이다. 건물은 지금은 많이 변해버린 옛 관아 건물인 듯한데 일제시 한때는
일본군 고급장교가 주둔해 있었던 것으로 전해온다. 오른손 편으로 애월마을의 집들이 보이는데 이 지역 역시 너무 많이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
 |
산지내와 망루.. |
산지내 위에 원형다리모형은<북수구>이다. 아득히 원경으로 보이는 망루는 지금의 제주측후소 부근에 있었던 쾌승정인 것 같
다. |
 |
산지천의 세월.. |
산지천의 하류인 듯한 곳에 세월이 놓여 있고, 이 다리 위로 사람들이 지나고 있다. 저쪽 냇가를 끼고 나있는 길, 그 길가의 높직
한 돌담이 눈길을 끈다. 산지내의 물은 풍성하고, 맑으며 그 건너 나즉나즉 엎드린 초가들이 안개에 쌓여 환상적이다. |
 |
지금 오현단 부근의 제주성.. |
옛날<소래기동산; 과거 제주영락교회 자리>쪽에서 제주성의 동남단 단애를 원경으로 찍은 것이다. 山地川상류의 험준했던 모
습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데 이 내의 중심에는 낮은 안경교가 놓여 있는게 보인다. 지금은 완전히 시가지화한 이 일대는 변화의
무상함을 잘 말해 주고 있다. |
 |
관덕정마당에서의 한판 입춘굿놀이.. |
1910년대까지도 입춘 무렵에 도내 무당들이 우두머리, 즉 <도황수>를 뽑는 입춘굿놀이는 해마다 있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
다. 도황수는 춤도 잘 출 뿐더러 사설도 정확하게 읊어 모든 무당들의 수장이 되었던 사람인데, 제주에서 마지막 뽑혔던 도황수
는 성산읍 신풍리의 洪梅花씨로 전해지고 있다. 지금 중아파출소 옆쯤의 누대에 구경꾼들이 잔뜩 올라가 있고 가면무를 추는 남
녀 무당 다섯이 춤사위가 한창 신이 나 있다. |
 |
제주도 부인들의 풍속.. |
돌담장과 기와지붕을 배경으로 두 여인이 옆모습과 뒷모습을 보이고 서 있다. 한 여자는 통이 깊은 구덕을 지고 있고 한 여자는
부려놓은 채 짐질 때 받치는 누비등받이 만을 어깨에 걸치고 있다. 물질이라도 나가던 모양새다. |
 |
|